'노자도덕경 5장'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12.21 노자도덕경 5장

노자도덕경 5장

2018. 12. 21. 14:01 from BoOk/pHiLoSoPhY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성인불인 이백성위추구

天地之間 其猶

천지지간 기유탁약호

虛而不屈 動而愈出

허이불굴 동이유출

多言數窮 不如守中

다언수궁 불여수중

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성인불인 이백성위추구


여기까지 내용을 보면 노자에서 聖人이 논어의 그것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논어에서의 聖人이 초월적 위치의 哲人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면, 노자에서의 聖人은 당시 이 글을 읽어줄 것으로 기대되는 독자층, 즉 자신의 철학을 구현시켜주기를 바라는 대상인 군주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될 것 같습니다.

 

위의 두 문구는 천지가 이러하므로 성인은 마땅히 이러해야한다는 댓구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풀어 해석하였습니다.


"천지는 인자하지 않다, 만물을 풀강아지로 여긴다, 성인도 인자해서는 안된다. 백성을 풀강아지처럼 여겨야한다."

 

현재의 민주공화정 시민들에게 이런 내용은 상당히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풀강아지로 여긴다는 것은 백성을 하찮게 여기라는 의미라기 보다는. 상대에 대해 주관적인 감정이나 호오를 개입시키지 말라는 의미로 생각해야될 것 같습니다. 모든 사람에서 仁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지도자가 너그러워지려는 마음을 가지더라도 이는 어느 특정 대상이나 계층에 한정되기 십상이며, 이 경우 그 혜택에서 소외되는 집단이 생기게 되어 필연적으로 집단 내에 갈등을 유발할 여지를 만들게 됩니다.

 

노자는 하늘이 만물에 대해 풀강아지 대하듯 통치의 대상에 감정을 개입시키지 말라고 합니다. 하늘이 착한사람에게만 더 좋은 날씨를 주고, 나쁜 사람들만 골라 천재지변을 일으키지는 않으니까요.

 

무신론자라서가 아니라 구약을 읽으면서 여러가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왜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만 보살피지? 왜 유대인들처럼 이교도들 앞에 나타나서 내가 신이라고 얘기하고 소위 성경에서 얘기하는 바른 길로 인도하지 않는 거지?  왜 그때는 그렇게 부지런하게 사람들 앞에 출현하시다가 요즘에는 전혀 무심한 듯 모든 일에 관여하지 않는 거지 등등...

 

물론 노자에서 말하는 천지가 어떤 절대자를 뜻하는 것이라면, 무신론자인 저에게는 받아들이기 힘든 비유라고 할 수 있겠지만, 여기서 말하는 것은 천지가 만물을 만들어내었어도 그 이후 불편부당하듯 지도자도 마땅히 그러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말하자면 소위 리더는 밑의 사람을 다스림에 있어서 내가 착해야지, 저사람들에게 잘보여야지 라는 생각을 앞세우게 되면 이로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어떤 주관적인 편견을 배제하고,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현실을 보며 가능한 편중됨이 없어야한다는 의미를 담은 두 문장으로 이해됩니다.

 

地之間 其猶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천지지간 기유탁약호    허이불굴 동이유출

 

여기서 다시 천지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을 합니다. 해석을 아래와 같이 하였습니다.


"하늘과 땅 사이 빈 공간은 마치 그 (풀무)와 같다. 빈틈이 있음에 굴하지 않는다. 부지런히 노력하여 앞서 잘못한 점을 고쳐낸다"

 

앞장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었는데, 도덕경에서는 사전에 준비한 해법이 항상 완전무결할 수는 없으며, 지금 당장 확실하지 않다면 앞으로 생각할 여지를 남기고 일단 시작할 수 있는 부분부터 시작하여 개선해나가는 것이 맞는 방법이라고 이야기 하는 듯 합니다. 준비한 해법이 완전무결하지 않다고 부끄러워할 필요도 없으며, 오히려 개선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고 생각하라는 의미입니다.


多言數窮 不如守中

다언수궁 불여수중 

 

여기 이 문구는 많은 경우 "말이 많으면 수가 궁해진다"는 식으로 해석들이 됩니다. 이것도 좋은 말이기는 한데 뭔가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생뚱맞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히려 여기 多言數窮이라는 문구는 의견을 많이 나누고 (말을 많이 하고) 수를 궁리하라는 의미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나만의 생각을 고집하는 경우라면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지못할 수도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단, 이 경우도 "不如守中" 즉 자신만의 중심은 남에게 휘둘리지 말고 주관을 지켜야된다고 이야기한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풀어서 전체를 아래와 같이 해석하였습니다.


"천지는 인자하지 않다, 만물을 풀강아지로 여긴다, 성인도 인자해서는 안된다. 백성을 풀강아지처럼 여겨야한다. 하늘과 땅 사이 빈 공간은 마치 그 (풀무)와 같다. 허점이 있음에 비굴해하지 않는다. 부지런히 노력하여 앞서 잘못한 점을 고쳐낸다. 의견을 많이 나누고 방도를 찾을 것이되, 자신의 중심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Posted by Tony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