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도덕경 11장

2020. 2. 20. 16:21 from BoOk/pHiLoSoPhY

三十輻共一穀, 當其無有車之用 삼십폭공일곡  당기무유차지용

埏埴以爲器, 當其無有器之用. 연식이위기  당기무유기지용

鑿戶牖以爲室, 當其無有室之用. 착호유이위실  당기무유실지용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고유지이위리   무지이위용

 

11장은 해석에 큰 논란이 없으므로 우선 원문의 해석부터 기술합니다.

 

서른 개의 바퀴살을 바퀴통에 모으는 것은 마땅이 그 빈 공간을 통해 차를 사용하려 하기 위함이요,

찰흙을 이겨 그릇을 만드는 것은 당연히 그 빈 공간을 만들어 활용하기 위함이다.

창과 방을 이용해 집을 짓는 것도 당연히 빈 공간인 방을 만들어 활용하기 위함이니,

이와 같이 있음(有)이 이로운 것은 無를 이용하는 도구가 되기 때문이다.”

 

이쯤 되면 노자의 無爲라는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좀 더 명확해지지않나 생각됩니다. 얼핏 無爲라는 말은 그냥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는 말로 이해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는 말은 바퀴도 만들지않고, 그릇도 만들지않으며, 집도 만들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이 좀 더 수월하게 물자와 사람을 나르려면 차를 만들어야 됩니다. 물건을 담기 위해서는 그릇도 만들어야되고요. 휴식을 취하며 가족들과 함께 하려면 집도 있어야 합니다. (이런 행위조차 하지않는 것은 야만으로 돌아가겠다는 것 밖에는 안됩니다.)

 

노자는 10장부터 어떻게 하는 것이 더 좋은 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이런 이야기를 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리고 11장에서는 無爲에 대해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었습니다.

 

바퀴에 살이 없이 한 덩어리로 이루어져있다면 어떻게 될까요. 바퀴의 중량이 더 나가게되어 차를 움직이기 더 힘들어질 것이고, 바퀴에 받는 중량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해 더 파손에 취약해질 겁니다. 진흙을 빗었는데 물건이나 음식을 채울 빈 공간이 없다면 그것은 그냥 진흙 덩어리일 뿐입니다. 무엇을 담아내는 그릇이라고 할 수 없겠죠. 집을 만들었는데 방이 없다고 생각해보십시오. 성벽이라면 몰라도 그런 건축물을 집이라고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無爲는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이 무언가 일을 도모함에 있어 간섭을 최소화하고, 구성원들의 의견을 담는 것에 집중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였으면 합니다.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일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며, 엄정하게 그 성과는 포상하고, 문제점에 대해서는 책임을 묻는 것이 지도자의 일입니다. 하지만 숨이 막히도록 모든 것을 만기친람하고, 자신의 의견만을 고집하여 진행되도록 한다면 문제가 해결되기보다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물론 나의 의견이나 생각이 전혀 들어가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Leader는 사람들의 의견이 자유롭게 개진되고 그중 가장 나은 방안을 도출해내어 담아내는 과정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이런 비유를 든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11장의 내용은 다른 방식으로 이해될 수도 있지않을까 생각됩니다. 마지막 문장의 내용에 대한 이야기인데,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어야할 때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구성원들이 나름 분석하여 구체화시킨 기존의 제도나 절차를 이용하여, 새로운 Process나 Solution을 도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德)이라는 뜻으로도 이해될 수 있지않을까 합니다.  

 

無爲를 이야기한 것이던, 새로운 것을 만들기 위한 방법론을 이야기하는 것이던 두가지 모두 의미있는 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Posted by Tony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