孔德之容, 惟道是從.
공덕지용, 유도시종
道之爲物, 惟恍惟惚.
도지위물, 유황유홀
惚兮恍兮, 其中有象,
홀혜황혜, 기중유상
恍兮惚兮, 其中有物.
활혜홀혜, 기중유물
窈兮冥兮, 其中有精,
요혜명혜, 기중유정
其中甚眞, 其中有信.
기중심진, 기중유신
自古及今, 其名不去, 以閱衆甫.
자고급금, 기명부거, 이열중보
吾何以知衆甫之狀哉, 以此.
오아이지중보지위재, 이차
21장의 첫 글자는 孔입니다. 孔이라는 말은 무슨 의미로 쓰여진 걸까요? 사전을 찾아보면 구멍이라는 뜻으로 가장 먼저 정의되어 있습니다. 다른 뜻도 몇몇 있는데 크다던가, 헛되다, 통한다 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이 孔이라는 단어를 11장의 無라는 말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았습니다.
孔德之容이라는 첫 네 글자는 “비어있음의 덕은 받아들임 (수용함) 에 있다”라고 해석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다음 네 글자로 더욱 비움의 덕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惟道是從 “오로지 도는 이를 따른다”라는 것이죠. 첫 단원은 결국 비움의 미덕은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받아들이는 것에 있다는 것이며, 왠만한 Solution은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다는 뜻으로 해석하였습니다.
道는 다시 이야기 하지만 길이라는 단어입니다. 그리고 그 길은 사람들이 많이 밟고 지나가는 곳에 형성되죠.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大道無門이라는 말은 큰길에는 일종의 검열 역할을 하는 Gateway 즉 門이 없다는 의미이라는 점을 상기하면, 나의 의지를 투영하려고 고집하는 것보다는, 모든 사람들의 의견을 두루 수용할 수 있는 빈공간 또는 Play Ground를 만들어주면 그 다음 자연이 해결책과 새로운 Idea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道之爲物, 즉 구체화된 뭔가를 (物) 만들어내는 (爲) 길(道)이 되는 것이죠.
다음 세문장에 恍과 惚이라는 단어가 반복해서 쓰여집니다. 황홀하다라고 해석될 수 도 있는 이 두 글자는 이 경우 앞서 14장의 夷, 希, 微라는 단어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저는 보았습니다. 말 그대로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해도 들리지 않고, 잡으려 해도 잡히지 않는 그런 상황이 다르게 표현되었다고 말이죠.
전체적인 현상만으로 방안을 수립하려 하는 상황는 막연하고 막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의 또는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차분이 수용하다보면 대상을 명확화할 수 있고 (象), 모호했던 것이 구체화되고 (物), 일을 추진하는 동력을 형성하게 되며 (精), 깊이 진실된 마음들을 모을 수 있고 (甚眞), 구성원들의 믿음도 확보하게 된다고 보았습니다. (信)
이 모든 절차의 기본은 孔, 즉 나의 Bias가 반영되지 않은, 그것을 비운 수용하는 자세에 있다고 본 것이죠.
마지막 두 문구는 수용하는 자세가 오래토록 검증된 道라는 점을 강조하는 말로 보았습니다.
自古及今, 其名不去, 以閱衆甫
즉, 예로부터 지금까지 사라지지 않은 (不去) 정의 (名)라는 것은 덧붙여 설명하자면 오래살아남은 절차나 제도, 문화는 일반 대중들의 (衆甫) 교열 (閱), 즉 집단지성의 검증을 거친 대상들이라는 것이죠.
오래 살아남은 이름이나 방식, 습관, 문화는 결국 한 위대한 위인의 갑작스런 발견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대부분 그 구성원들의 반복된 정정을 거친 것이 대부분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였습니다.
吾何以知衆甫之狀哉, 以此 라는 마지막 말은 이를 강조해 표현한 것으로 “내가 어찌 사람들의 상태를 알겠는가, 이로써다”라고 해석하였습니다. 즉 그 대중의 문화나 습관은 그 구성원들의 합의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문화나 관습을 보면 그 구성원들이 거쳐온 역사와 환경, 그리고 역량을 이해할 수 있다라는 말로 해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