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도덕경 42장

2023. 12. 4. 16:16 from BoOk/pHiLoSoPhY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만물부음이포양 충기이위화
人之所惡 唯孤寡不穀 而王公以爲稱
인지소오 유고과불곡 이왕공이위칭
故物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
고물혹손치지익 혹익지이손
人之所敎 我亦敎之 强梁者不得其死
인지소교 아역교지 강양자불득기사
吾將以爲敎父
오장이위교부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도가 하나 생겨나면 이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만들어내고, 셋은 만물을 만들어 낸다.”
 
무언가 하나의 새로운 방안이나 방도를 만들어지면  이를 이용한 새로운 방안이나 방도가 나오게 됩니다. 그 하나로 고정되지 않는거죠. 그것이 경제학이 되었건, 물리학이 되었건 아니면 교통 법규가 되었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양한 시도가 더해지게 됩니다.
 
이 첫 문구는 무언가 하나의 Idea가 생성되면 기존의 생각들이 더해져 수만가지 Idea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이렇듯 만들어진 수많은 Idea들은 Negative한 면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혹은 Positive한 면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렇듯 상충되는 수많은 방안들이 상호보완하여 새로운 방안을 이루게 된다.”
 
이 문구에서 정/반/합의 원리가 연상된다고 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것이 Idea가 되었건, 법칙이 되었건 아니면 규율이 되었건,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기존 방식의 부족한 부분이 시간이 지나며 부각되기 때문이고, 이런 이유로 개선의 필요성이 공감대를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벤치마킹을 통해서건, 새로운 Idea를 찾건, 부족한 부분을 메우거나, 장점을 더 살리는 방향으로 변화를 추진하게 되는거고요. 음과 양으로 설명되는 노자의 이 문구는 근대의 철학과도 일맥상통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는 생각을 들게 합니다.
 
人之所惡 唯孤寡不穀 而王公以爲稱
사람들이 싫어하는 부분은 오직 고립되거나 모자라거나 좋지 않은 것들이다. 이러하여 왕과 상공들이 자신을 칭함에 이런 단어를 사용한다.”
 
위의 이야기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기존의 방식에서 부족하거나 모자라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리더들이 항상 관심을 가지고 개선할 부분이 없는지 찾아야한다는 이야기이며, 이전 왕조시대의 지배층이 왜 “과인이…” 이라는 식으로 자신을 칭했는지 이유가 나와있습니다.
 
내가 부족한 사람임을 기본 전제로 하고 신하와 백성들이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직언하고 개선될 수 있도록 하자는 이야기입시다.
 
故物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
고로 모든 일은 혹은 손해가 이득이 되기도하고 이득을 보는 것이 손해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중국의 많은 문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유명한 새옹지마의 고사도 그러하고 주역에서 기본적으로 깔고있는 사상도 현 상황이 지속되지는 않는다는 점에 있습니다. 앞에서 여러 번 이야기되었지만 현재의 성공사례가 내일의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은 효과가 없다고 하더라도 언젠가는 빛을 보는 경우도 종종 목격할 수 있고요.  
 
人之所敎 我亦敎之 强梁者不得其死
사람들이 가르침을 나누려는 부분에 대해서는 나 또한 그를 가르치려 한다. 횡포한 이는 자신의 생각이나 위치를 희생하여 이러한 가르침을 얻지못한다.”
 
이 문구가 다소 해석하기에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결국 人之所敎라는 문구는 사람들이 가르치고자하는 바로 해석될 수 있는데, 앞의 내용과 연결성을 생각하여 사람들이 자신의 지식을 나누고자 하는 바, 즉 앞의 이야기와 같이 正과 反이 대립하는 지점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나의 생각과 다른 사람의 생각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합의점을 찾는, 즉 合을 도출하는 과정을 敎 즉 가르친다로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결국 협상과 합의의 과정이 중요할 것입니다. 나의 것만을 강요해서는 合을 이루기 힘들겠죠. 그래서 마지막의 强梁者 즉 횡포한 사람은 자신의 고집을 죽이는 과정을 통해 (其死) 새로운 것을 얻지 못한다 (不得) 라고 해석한 것이죠.
 
종종 횡포한 자는 좋게 죽지 못할 것이다, 라는 식의 저주의 문구로 해석하곤 하는데 다소 앞뒤 연결이 되지않는 듯하다는 생각입니다.
 
吾將以爲敎父
나는 (이를) 장차 가르침의 바탕으로 하려한다.”
 
敎父는 종교나 특정 학문의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을 가르키는 의미로 많이 통용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父는 근원 즉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기 위한 마중물이 되는 사항이나 상황으로 사용된 단어로 이해했습니다. 이러한 바탕에서 敎父라는 단어는 가르침의 바탕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번 장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모든 현상이나 Process에는 만족스러운 점이 있는 반면에 부족한 면도 같이 내포하고 있으며,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부족한 점을 채우고, Plus가 되는 부분은 공유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을 지속해야된다, 독불장군처럼 나 혼자 옳다고 고집을 피워서는 아무런 것도 더 나아지지 않는다는 점을 이야기 하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Posted by Tony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