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下有道 走馬以糞

천하유도 극주마이분

天下無道 戎馬生於郊

천하무도 융마생어교

禍莫大於不知足 咎莫大於欲得

화막대어부지족 구막대어욕득

故知足之足 常足矣

고지족지족 상족의

 

 

天下有道 走馬以糞

천하에 도가 있으면, 놀고 있는 땅에서 거름을 이고 말이 뛰어다닌다.”

 

이 행에는 郤이라는 글자를 어떻게 해석해야될지 애매하더군요. 한자 사전에 주로 '틈', '구멍' 등의 의미로 나와있는데, ‘놀리고 있는 땅’이라는 의미도 있는 것을 확인하여 위와 같이 해석하였습니다.

 

天下無道 戎馬生於郊

천하에 도가 없으면 군마가 성 밖에 살게된다.”

 

첫 문구에 댓구가 되는 내용입니다. 군마가 성 밖에 산다는 것은 나라 밖 전쟁터에 동원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내용과 묶어 이야기하면 그 사회에 道가 있냐 없냐에 따라, 같은 도구라도 (여기서는 말로 예시를 드는데) 생산성을 높이는 것에 사용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약탈의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야기합니다.

 

목표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고민할 수도 있지만, 원하는 바를 가진 상대를 겁박하여 약탈하는 것도 방도의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가지고 있는 것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수확을 높이자는 방법과, 아니야 상대가 가진 것을 약탈하여 단기간에 창고를 채우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아, 라고 선택하는 차이는 어디서 발생되는 것일까요?

 

禍莫大於不知足 咎莫大於欲得

만족함을 모르게 되면 화가 막대해지며, 얻고자하는 욕심이 재앙을 막대하게 한다.”

 

노자는 여기서 만족함을 모르고 욕심을 내는 것이 그 시작점이라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불행과 재앙을 매우 크게 키우게된다 이야기합니다.

 

故知足之足 常足矣  

이러한 이유로 만족함을 아는데에서 비롯되는 만족, 이것이 지속 가능한 만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만족함이라는 의미는 이쯤에서 대충 그만 두자, 라는 의미는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더 라며 결국은 상대방을 약탈하는 행위까지 가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즉 어디까지 추진을 하고, 어디에서 멈출지를 안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욕심과 욕망은 객관적인 판단을 가로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배제하여야된다는 의미도 담고 있고요. 

 

첫줄의 퇴비 이야기는 상당히 의미가 있는 예시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행위를 도덕경이 강조하려 한다면 굳이 퇴비를 써서 농지의 생산성을 높이려는 행위도 부질없는 짓일 겁니다. 결국 아무 노력도 하지말자는 것은 노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지나쳐 약탈과 살육으로 이어지는 것은 무도한, 즉 대안조차도 될 수 없는, 고려해서는 안되는 행위라로 말하는 겁니다. 왜냐하면 그 단계로 들어서면 이건 순수한 개선활동이 아닌 욕심과 욕망에 휘둘리는 상태이기 때문이죠. 상대에게 위해를 가할 정도로 욕심을 내지말고 내가 가진 자원을 활용하여 합법적이고 상식적인 한도 내에서 추구하는 개선활동이야 말로 "常" 즉 지속가능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osted by Tony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