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勢成之
도생지 덕축지 물형지 세성지
시이만물막부존도이귀덕
道之尊德之貴 夫莫之命而常自然
도지존덕지귀 부막지명이상자연
故道生之 德畜之 長之育之 亭之毒之 養之覆之
도도생지 덕축지 장지육지 정지독지 양지복지
생이불유 위이불시 장이부재
是謂元德
시위원덕
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勢成之
“도를 통해 무언가 만들어진다면 덕을 통해 이것이 길러지게 된다, 주위의 자원을 활용하여 형태를 갖추게 되면 기세를 얻어 성장하게 된다.”
앞 장에서도 이야기하였지만 대부분의 경우 무언가 새로운 것이 만들어진다면 “생성-성장-안정-소멸”의 생애 4단계를 거치게됩니다.
51장의 첫 문장도 이러한 개념의 연장선상에서 道와 德의 기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자면 새로운 法을 만들어내려 한다면 기존의 입법 절차 즉 道에 의해서 만들어지게됩니다. (道生之) 그러면 단순이 입법절차만을 따르면 좋은 법을 만들 수 있을까요? 여기서 德의 역할이 주어집니다. 마주하고 있는 문제나 이슈를 해결하고 구성원들에게 최대한의 혜택이 주어지는 방안을 고민하는 德이 바탕이 될 때 좋은 법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德畜之) 이러한 법은 가용한 자원이나 환경을 최대한 참고하고 활용하여 그 구체적 형상이 완성되게 되고 (物形之)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얻어야 비로서 널리 쓰일 수 있게 됩니다. (勢成之)
是以萬物莫不存道而貴德 道之尊德之貴 夫莫之命而常自然
“이러한 이유로 만물은 도가 있지 않거나 덕을 귀하게 여기지 아니하지 못하게 되며, 도를 존중하며 덕을 귀하게 여기는 것은 무릇 따로 명령하지 않아도 상식적이며 자연스럽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문장에서 莫不 (아니하지 못한다) 라는 문구는 뒤에 이어지는 存道 및 貴德 두 문구에 같이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즉 存道하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貴德하지 않을 수 없다, 라고 해석하였습니다. 도와 덕이 만물의 존재하고 생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라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새로운 방안의 근본이 되는 도와 덕이라는 두 요소를 자연스럽게 존중하며 귀하게 여기게 된다 이야기합니다.
故道生之 德畜之 長之育之 亭之毒之 養之覆之
“고로 (앞서) 도를 통해 무언가 만들어진다면 덕을 통해 이것이 길러지게 된다 이야기한 것이다. 키우고 기르며, 안정되게도 독이 되게도 하며, 기르기도 하지만 엎어버리기도 한다.”
道와 德의 역할은 결국 무언가를 만들어내고 길러내기 위한 도구로서 활용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여러 선택을 하게된다는 거죠. 키우고 기르는 대상이 있는 반면에 어떤 대상은 머무르거나 아예 없애버리기도 하는 것이고요. 어떤 것은 성장시키기도 하지만 동시에 어떤 것은 덮어버리기도 하는 것입니다.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元德
“만들되 소유하지 않으며, 위하되 기대지 않고, 키워주되 다스리려하지 않아야한다. 이를 가르켜 기본이 되는 덕이라 한다.”
그렇다면 이렇듯 중요한 역할을 하는 德의 방향성은 어떠해야 할까요? 노자는 여기서 크게 3가지 방향성을 가져야한다 이야기합니다.
生而不有, 즉 리더가 본인의 소유물로 하기 위해 만들어내서는 안된다, 공공의 복리를 위한 목적을 지향해야한다고 이야기합니다. 많은 경우 일정 성과를 거둔 리더들이 무언가 성과를 만들어내면 그 결과물이 자신의 소유물인 것처럼 이야기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소유하고 나의 이익에 부합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고 경계해야되지 않을까요? 결국 리더라할지라도 그 위치에서 단지 그 역할을 했을 뿐이니까요.
그리고 爲而不恃 구성원을 위한 결과물을 만들어야지 구성원에 기대어서 일을 추진해서는 안된다 이야기합니다. 여기서 기댄다는 이야기는 다향하게 해석될 여지가 있어보입니다. 그냥 사람들 하자는데로 (그것도 소수의 주변 사람들) 책임감 없이 행동하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일 수도 있고 아니면 맹목적으로 어떤 지향점에 집착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어보입니다. 아니면 만들어지 결과물에 나의 이익을 결부시켜 여기에 기생하려는 것으로 볼 수도 있고요. 어떠한 경우가 되었건 전체 큰 그림에서 성과를 또는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에 목적을 둬야지, 다른 의도를 가져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로 해석됩니다.
마지막으로 長而不宰 즉 성장시키되 다스리려하여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간단히 말하여 내가 키워줬으니 내가 하라는데로 해, 해서는 안된다는거죠. 生而不有라는 첫 문구와 일맥상통하는 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나는 나의 역할을 하였을 뿐 이를 통해 나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도구로 악용하지는 말라는 이야기로 해석됩니다. 그리고 이 세가지가 바탕이 되는 덕이어야한다 이야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