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of the main lesson from the last class is the diversity of organizations participants. We all have to remind tha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difference between members to succeed in this globalized business environment.

 

 Even when I was a high school student, Koreans and Korean society were very hierarchy and conservative. For example, one of my cousin who is older than I am by one year had an experience of hearing blames from an unknown old lady just because she rode a bicycle. We can not dream of and even cannot remember cases like this in Korean society now in 2007. At that time, it was a closed military government country so this could make sense at that time but now when the active interchange in the world became a precondition for growth, everyone of participants in society, in company and in any organization should have to accept voluntarily this change. Rome who opened its door and even accepted the defeated as its leaders Group succeeded but 19 and 20 centurys imperialist countries that discriminated their colony were failed. Athens that   were reluctant in sharing its citizenship with outsider were perished but United State remains as a super power cause they rigorously accepted and opened its door to all colors. Considering this, we cannot expect future if we keep emphasizing and adhere to pure blood line and solitariness.

 

Im currently working at mechanical procurement Group and cause of its job characteristic we need to do physically difficult works sometimes and have to have knowledge about mechanical things. And when our group leader announced last year that he recruited a woman graduated as a new recruit, some complained and worried if she could adjust herself. But the result after 1 year have passed? She carry out her job without any problem up until now. We also have to spend and work with foreigner many times cause of business issue and at the first time we worried if my counter partners can go ahead with me smoothly but as time goes by, we are surprised to understand that we have many things in common. To find out if he thinks or acts differently and understand it is important thing but the more important one is to find out which value we can share together and if there is anything in common. We surely can expect to achieve something faster and efficiently from the group that has its members from similar background and have a similar culture. But with the same reason, if the members have same target and have varieties of resources, they can create more distinctive outcome.

 

In 1970 and 1980, we had a relatively small economy so we could produce the product we like by ourselves to our market and could expect benefit out of there. But the situation changed now. Most of business models cannot make profit if they are limited in domestic market. It surely is important to develop and make so called mega hit model which can be sold at any place of the world but along with this, we also have to develop ourselves to be enable to develop customized products for specific market. To achieve this, we have to understand varieties of customer from different background so that we can find out what they want faster and correctly. Women can find out what women wants more effectively and Islam knows what Islam wants better. American employee knows what American customers wants better and Congolese employee understand Congolese customer better.

 

After all, my conclusion are like below.

 

Conclusion

-. Taking an exclusive attitude toward persons who have different background can only lose your competitiveness.
-. Try to find out if there is a value you can share together.

Posted by Tony Kim :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2007. 4. 30. 09:49 from Ajou MBA

 

One of the main lesson from the last class is the diversity of organizations participants. We all have to remind tha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difference between members to succeed in this globalized business environment.

 

 Even when I was a high school student, Koreans and Korean society were very hierarchy and conservative. For example, one of my cousin who is older than I am by one year had an experience of hearing blames from an unknown old lady just because she rode a bicycle. We can not dream of and even cannot remember cases like this in Korean society now in 2007. At that time, it was a closed military government country so this could make sense at that time but now when the active interchange in the world became a precondition for growth, everyone of participants in society, in company and in any organization should have to accept voluntarily this change. Rome who opened its door and even accepted the defeated as its leaders Group succeeded but 19 and 20 centurys imperialist countries that discriminated their colony were failed. Athens that   were reluctant in sharing its citizenship with outsider were perished but United State remains as a super power cause they rigorously accepted and opened its door to all colors. Considering this, we cannot expect future if we keep emphasizing and adhere to pure blood line and solitariness.

 

Im currently working at mechanical procurement Group and cause of its job characteristic we need to do physically difficult works sometimes and have to have knowledge about mechanical things. And when our group leader announced last year that he recruited a woman graduated as a new recruit, some complained and worried if she could adjust herself. But the result after 1 year have passed? She carry out her job without any problem up until now. We also have to spend and work with foreigner many times cause of business issue and at the first time we worried if my counter partners can go ahead with me smoothly but as time goes by, we are surprised to understand that we have many things in common. To find out if he thinks or acts differently and understand it is important thing but the more important one is to find out which value we can share together and if there is anything in common. We surely can expect to achieve something faster and efficiently from the group that has its members from similar background and have a similar culture. But with the same reason, if the members have same target and have varieties of resources, they can create more distinctive outcome.

 

In 1970 and 1980, we had a relatively small economy so we could produce the product we like by ourselves to our market and could expect benefit out of there. But the situation changed now. Most of business models cannot make profit if they are limited in domestic market. It surely is important to develop and make so called mega hit model which can be sold at any place of the world but along with this, we also have to develop ourselves to be enable to develop customized products for specific market. To achieve this, we have to understand varieties of customer from different background so that we can find out what they want faster and correctly. Women can find out what women wants more effectively and Islam knows what Islam wants better. American employee knows what American customers wants better and Congolese employee understand Congolese customer better.

 

After all, my conclusion are like below.

 

Conclusion

-. Taking an exclusive attitude toward persons who have different background can only lose your competitiveness.

-. Try to find out if there is a value you can share together. 
Posted by Tony Kim :

화산논검

2007. 4. 25. 13:33 from BoOk/fAnTasy

 


화산논검13

저자
김용 지음
출판사
동광출판사 | 1994-07-01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크기 : 단행본A5 제본 : 일반표지(Paperback) 상태 ...
가격비교

화산논검은 김용의 장편소설이며 너무나도 유명한 사조영웅문의 전편적인 성격을 띄고 있는 소설이다. 아직 다는 읽지 못했고 우선은 1부 서독 구양봉 편을 읽어보았다. 화산논검은 구양봉, 황약사, 홍칠공,왕중양,단지홍 등의 5대 고수들과 양과, 매초풍등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영웅문의 외전이라 할 수 있다.

 

김용의 소설은 사실 읽을 일이 없었는데 대우에 있을 때 주말이면 기숙사에서 별로  할 일도 없고 해서 도서 대여점에서 영웅문 1, 2부를 빌려 읽으면서 접하게 되었다. (3부는 안읽었다.) 얼마 전에 소호강호도 읽어봤었는데 이번에 화산논검을 읽어볼 기회가 있었다.

 

김용의 소설을 읽지는 않았더라도 영화로라도 접한 사람들은 많을 것이다. 너무나도 유명한 동방불패, 소호강호도 결국 내용은 틀리지만 김용의 소호강호에서 모티브를 따 온 영화들이다.

 

1편 서독 구양봉편은 다른 고수들에 비해 시작은 너무나도 보잘 것이 없었던 나약한 서생이었던 구양봉이 어떻게 악인으로 변모해가는 가를 다루고 있다. 서독 구양봉은 엄밀하게 말하자면 5대 고수 중에서 가장 순수한 악인으로, 영웅문에서의 그는 너무나도 잔악한 절대악의 모습을 띄고있다. 오히려 소설적인 측면에서 이런 케릭터는 어쩌면 다른 인물들에 비해 상대적인 매력이 더욱 느껴지게되는데, 다른 고수들에 앞서 1부가 서독 구양봉이 된 것은 어쩌면 그런 것과도 관련이 있지않을까 싶다.

 

그 악독한 노독 구양봉도 화산논검을 읽다보면 참을 수 없는 연민을 느끼게된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돌이켜 영웅문에서 구양공자가 죽고나서 서독이 울부짓던 모습을 생각하면 이러한 사연들을 되돌아보게되어 그의 가슴 시린 인연에 연민을 느끼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김용의 다른 소설들은 사실 읽고 나면 읽는 중에는 굉장히 재미가 있었지만 좀 마지막이 흐지부지하다는 생각이 들고는 했었는데 화산논검 1부는 이러한 생각이 들지않는 수작 중의 하나다. 2부 (동사 황약사)도 지금 읽고 있는 중이지만 모용쟁의 죽음으로 마무리되는 1부의 내용은 이제 다시 읽어도 영웅문이라는 전설에 어울리는 시작으로서 부족함이 없다.

Posted by Tony Kim :

삼국지

2007. 4. 23. 13:36 from BoOk/nOvEl

 

황석영 삼국지 세트
국내도서
저자 : 나관중 / 황석영역
출판 : 창비(창작과비평사) 2003.06.27
상세보기

 

요즘 삼국지를 읽고있다. 저번에 성채 글 쓰면서 한번 얘기를 한 것 같은데... 전에 있던 범우사 삼국지 마지막 권을 잃어버려서 걍 큰 맘 먹고 황석영의 삼국지로 10권 한방에 사서 읽고있다. 지금 9권째까지 읽고 있으니까... 아마 늦어도 담주 초에는 다 읽을 것 같다.

 

삼국지는 사실 여러 번 읽어봐도 항상 새롭고, 읽다보면 어 이런게 있었나 싶을 때가 생기는, 뭐랄까 읽으면 읽을 수록 새록새록 새로워지는 그런 책이다. 그리고 사실 판본들에 따라서 내용도 조금씩 틀리기도 하고... 첨에 국민학교때 읽었던 삼국지는 지금 생각하면 일본 번역판이 아닌가 싶은데 거기에는 유비가 어머니가 좋아하는 차를 사러 갔다가 황건적들에게 잡혀서 수난을 당하는 것과 같은 사실 원본에는 없는 에피소드들로 시작하는 판본이었고 내용 중에는 이것 말고도 지금은 읽은지가 하도 오래되서 잘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작가가 그냥 만들어낸 듯한 에피소드들도 많이 들어가 있었다. 그리고 이전의 범우사 판은 당황스럽게도 아예 도원결의 부분이 없다. 그 이후부터 이야기가 전개되서 좀 뭐 황당하기도 하고 섭섭한 감도 있고 또 제갈공명 사후에 그냥 몇 페이지로 후닥닥 내용이 마감이 되서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있다.

 

지금 황석영 삼국지는 아직 읽고있는 중이라서 뭐라고 말하기는 그렇지만 내가 보기에는 암튼 깔끔하고 그리고 사실 범우사판과 비교를 하자면 범우사판은 너무 직역냄새가 나서 글이 재미가 없었는데 작가의 역량이 번역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도 하겠지만 몇몇 전투 장면들은 확실히 느낌의 차이가 있다.

 

이전에 문화일보에 일부가 연재되다가 중단되고 요즘에 와서 출판된 장정일의 삼국지도 신문으로 일부 읽었었는데... 평역이어서 전혀 다른 느낌이었다. (사실 이런 시도는 삼국지중에도 많이 있다. 반삼국지라는 책도 상당히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있다.) 작가에 따라 삼국지는 어쩌면 자유스럽게 표현이 그리고 해석이 가능한 그런 이야기의 바다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 때가 있다.

 

삼국지의 매력은 그 수만의 군상들이 각각의 개성을 가지고 책을 읽을 때마다 어쩌면 이전에 받았던 것과는 사뭇 다른 그렇지만 깊은 인상을 주는 것에 있지않을까 싶다. 지금도 책을 읽으면 장비가 장판교에서 부라린 눈, 필마단창으로 조조의 군사들을 물리치는 장면에서는 감탄사가 절로 입에서 나온다. 사회에서는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자신의 능력만 과신하고 주위를 배려하지 않는 관우보다는 자신의 뛰어난 능력을 주어진 기회에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도 묵묵히 자신의 몫을 다하는 조자룡 같은 사람이 더 매력적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 세상의 운세는 공명과 같은 신출귀몰하는 사람이더라도 혼자의 힘으로는 되돌리기 힘들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사마씨가 위를 뒤엎고 천하통일을 이루게 될 것이고 남북조 시대가 그 뒤에는 이어질 것이고 그리고 당나라가 송나라가 나올 것이다. 그 수많은 영웅들과 전쟁과 희생들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운세를 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을까.

Posted by Tony Kim :

니벨룽겐의 노래

2007. 4. 20. 13:40 from BoOk/nOvEl

 

니벨룽겐의 노래
국내도서
저자 : 작자미상 / 허창운역
출판 : 범우사 2000.10.01
상세보기

 

 

우선 얘기하자면 "니벨룽겐의 노래"는 솔직히 잘못 알고 사서 읽은 책이다. 바그너 악극 "니벨룽겐의 반지"와 같은 내용으로 알고 악극을 몇일을 앉아서 들을 시간도 기회도 없으니까 궁금한데로 책으로 읽자라고 해서 사서 봤는데 악극과는 틀린 내용이다. 말하자면 그중 일부 이야기라고나 할까. 지크프리드가 전편에 나오지만 중반부에서 죽고 판타지적인 내용이라기보다는 어두운 시대극적인 느낌이 강하다. 구비문학으로 작가도 미상이며 시대적 배경도 모호하다.

 

책을 펼치면 사실 생소한 양식으로 구성이되어 책을 읽는 것 자체도 망설여진다. 구성 자체는 성경의 구성과 같은 형식을 띄고있어서 단락단락이 나누어져있으며 문체는 시가적인 형태를 띄고있다. 그래도 어찌되었든 일단 읽기 시작하면 그렇게 딱딱하거나 어려운 책은 아니다. (번역의 영향일 수도 있겠지만..) 범우사 문고판으로 사서 읽었는데 번역 자체가 매끄럽게되어 어색하다던가 막히는 부분이 없이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책의 내용은 지크프리드가 라인강 유역의 왕국의 공주 크림힐트의 아름다움을 전해듣고 그녀를 신부로 맞이하기 위해 찾아나서는 것으로 시작한다. 크림힐트의 오빠인 군터는 동생인 크림힐트를 신부로 내어주는 조건으로 이웃나라의 브룬힐트를 신부로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줄것을 부탁하고 마침내 지크프리드의 도움으로 혼인을 성사시키게되지만 의심을 품은 브룬힐트가 군터와의 동침을 거부하자 재차 부탁을 하여 지크프리드가 마법의 망토로 자신의 모습을 숨기고 브룬힐트를 힘으로 제압하여 군터와의 동침을 도와주어 (브룬힐트는 엄청한 힘의 소유자였다.) 마침내 크림힐트와의 혼인을 성사시키고 고국인 네덜란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 전반부의 내용이다. 여기까지의 내용으로만 보면 그냥 전형적인 중세 고전의 해피엔드 스토리로 마감하려는 것이 나머지 후반부로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못내 의심을 품은 브룬힐트가 지크프리드와 크림힐트를 초대하여 크림힐트와의 설전중에 사실의 내막이 폭로되어 모욕을 당한 후 라인의 기사들이 음모를 꾸며 지크프리드를 사냥중에 암살하는 것으로 비극이 시작되게 된다. 결국 크림힐트는 수년간을 와신상담하며 복수만을 기다리다 훈족의 왕 에첼과 혼인을 하게되면서 음모를 현실로 옮기게되며 군터 일족을 초대하여 결국은 모두가 비극적인 피의 최후를 맞이하게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이 난다.

 

책의 내용과 악극에서 중복되면서 (조금 틀린데) 일치되는 것은 지크프리드가 브룬힐트를 만나서 군터의 신부로 만들게되는 부분인데 여기서는 이전부터 이미 둘간에 사연이 있어서 브룬힐트가 지크프리드를 사랑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질투로 인해 암살을 사주하는 것으로 바그너의 악곡에서는 나오는 걸로 전해진다.

 

책의 주인공들은 단순히 선악의 구도로 구분하기에는 자신의 주인과 나름내로의 신념에 의해 행동하는 것으로 나와 무리가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악당으로도 표현될 수 있는 하겐과 같은 인물도 사실 나름대로의 신념과 자신이 속한 영주에게 충성을 위해 음모와 암살을 수행하며 마지막 부분의 전투 장면은 영웅적인 면모를 의도적으로 강조한 측면도 없지않다. 이 이야기의 비극은 결국 피의 복수가 아니고서는 자신의 명예를 보상받을 수 없었던 중세의 사회적인 구조에 기인하지않는가도 싶다.

 

책의 내용과 무관하게 이런 비장미를 느낄 수 있는 건 이러한 고전이 아니고서는 표현하기도 나타내기도 힘들다는 걸 다시 한번 느끼게된다. 피의 복수를 위한 내용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암울한 복선들을 나타내며 중세문학의 고유의 분위기를 느끼게 해준다. 흔치 않은 중세의 고전을 느낄 수 있는 좋은 독서의 기회였다.

 

결론 : 멋있는 고전이다. 반드시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다.

Posted by Tony Kim :

다빈치 코드

2007. 4. 19. 13:49 from BoOk/nOvEl

 


다 빈치 코드 1

저자
댄 브라운 지음
출판사
북스캔 | 2007-06-11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2005년출간 / 368쪽 l A5소설 영미소설 공포/추리소...
가격비교

"다빈치코드"가 얼마간 거의 부동의 상위로 베스트셀러 순위를 차지했었었다. 첨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계속 그러다 보니 궁금하던차에 처제가 사봐서 처가집에 갔었을 때 빌려와서 읽어봤다. 우선은 아주 재미있다. 책을 펼치면 다음이 궁금해서 손 때기가 쉽지가 않다. 거의 헐리우드 액션 영화의 포멧을 띄고있는데 헤리슨 포드의 도망자를 연상시키는 것 같을 때도 있다. 주인공을 헤리슨 포드와 닮았다고 공공연히 표현하는 것들을 보면 미리 염두에 두고 책이 쓰여졌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고 사실 판권이 이미 팔려서 영화화를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군대에 가면 일요일에는 신자이던 비신자이건 무조건 종교행사에 참여해야한다. 보통 교회/성당/절 이 3가지로 크게 나뉘는데 훈련소부터 설사 이슬람이라고 하더라도 (정말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암튼 일명의 예외없이 참석해야한다. 훈련소에서는 절에 갔었는데 뭐 불교를 믿어서라기보다. 절이 한시간동안 자고 오기에는 최적의 장소다. (성당이나 교회는 일어나라 앉아라가 있어서...) 그러던게 자대배치를 받으면서 선택의 폭이 성당/교회로 바뀌었고 성당이 영외에 있고 또 우리 소대고참들이 열열한 기독교 신자시다 보니 본의 아니게 교회에를 주말마다 다니게 되었다.

 

얼마간 교회를 다니면서 (물론 제대 이후에는 근처에도 가 본 적이 없지만.) 느끼게 된건 일반인들은 몰라도 기독교 신자들은 대부분인지 어떤지는 몰라도 악마라던가 그런 것에 대한 경계가 상당하다는 것이었다. 뭐 자세한 내용은 잘 기억도 나지않고 하지만 대강의 요지는 악마적인 요소들을 친숙화시킴으로써 일반인들에 대해 거부감을 희석시키려는 시도가 상당하며 결국은 이로서 "하느님의 세상"을 전복하려는 음모가 계속 진행중이라는 위기의식을 항상 가지고 있었다. 뭐 팜플렛도 있었고 설교중에도 몇번 들었던 것 같은데 프리메이슨이니 디즈니도 그중에는 언급이 되었던 것 같다.

 

그때의 기억을 가지고 이 책을 읽으면 사실 "다빈치코드"는 신자들에게는 거의 악마의 음모의 결정판이라고 할만하다. 악마의 상징중에 하나인 머리의 뿔이 사실은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양에서 가져왔다던가 뭐 일일이 열거하기 어려울만큼 그런쪽으로 생각을 하고 책을 읽으면... 하긴 예수는 사실 인간이었고 막달라 마리아와 사이에 애가 있어서 그 자손들이 아직까지 남아있다는 결론에 이르면 성격 급한 경우는 폭발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기독교의 뿌리가 아직까지는 깊게 남아있을 그쪽 동네 사람들과 뭐 멀리 갈 것도 없이 우리 나라의 열열하신 광신도들이 아직까지 아무 반응이 없는 건 좀 그래서 의아스럽기도 하다. (어제 뉴스를 보니까 바티칸에서 반응이 나왔다고는 하더만서도....) 우리나라 기독교인들도 시청앞에 가서 딴 것 가지고 시위하는 것보다 그래도 바로 관련이 되는 건데 이런거에 더 민감해야되는게 아닐까? 아니면 책들을 많이 안읽으셔서 그런게 있는지를 모르는 걸까?

 

아무튼 논란의 장을 불러일으키고 또한 저자 자신이 근거가 확실하게 있는 사실에 기초해서 쓴 책이라고 하여 수개월을 1위를 하고 지금도 상위에 랭크되어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그런데 뭐 재미는 있어서 후닥닥 두권을 읽어버리기는 했지만 읽고 나서는 그냥 정말 X-file 영화 본 느낌이랄까? 정말 사실인지 아닌지는 보는 사람 입장에 따라 다른 것이고 이정도 돈 벌이가 되는 거라면 사실 우겨보는 것도 방법이 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뭐 요새 독도처럼 말이지. 이익이 되서 우기는 걸 어쩌겠는가? 입을 꼬매버릴 수도 없고.

 

결론 : 재미있는 추리 소설이지만 뭐 그리 대단해 보이지는 않는다.

Posted by Tony Kim :

해변의 카프카

2007. 4. 19. 13:45 from BoOk/nOvEl

 


해변의 카프카(상)

저자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출판사
문학사상사 | 2003-07-25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66057]462 쪽깨끗합니다!!《해변의 카프카》는 23년간의 ...
가격비교



하루키를 처음 읽은 것은 한 5년 전에 기차 타기 전에 서점에서 우연히 "노르웨이의 숲"을 사서 읽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 사실 그전까지는 하루키가 유명한 줄도 몰랐고, 노르웨이의 숲도 우리나라에서 그렇게 인기가 있는 책인 줄도 몰랐었다. (그냥 우연히 잡힌 책이다.) 창원에서 서울까지는 5시간이 걸리는데 거의 서울에 도착하면서 다 읽었던 것으로 기억을 한다. 재미있는 책이고 인상에 남는 책이었지만 어쩐지 여기저기 다른 책들과 비슷한, 어디선가 읽었던 듯한 기억이 나는 곳들이 많아서... (요양소 부분은 토마스 만의 글의 연상하게 한다.) 그닥 대단하다는 생각은 들지를 않았다. 그러나 그후에 "태엽감는 새"를 읽고 "세상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를 읽고서는 하루키에 완전히 반하게 되고 말았다.

 

"해변의 카프카"에서도 하루키 대부분의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이지만 초현실적인 설정과 주변의 모든 상황에 대한 담담한, 어쩐지 초연한 듯한 등장인물들의 특징이 여지없이 나타난다. 사에키상과 나카타상의 그림자 이야기는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를 연상하게도 한다.

 

하루키는 그전에도 한번 사용되었던 그림자의 이미지를 왜 또 사용했었을까? 외부의 영향에 대해 자신을 통해 굴절하여 다시 외부로 표현되는 이미지가 반밖에 남지않았다는 것은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될까?

 

하루키는 그전보다도 소설 곳곳에 갖가지 상징들과 은유들을 심어놓아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한장 한장을 그냥 넘기기 힘들게 하고있다. 그러나 하루키의 또 다른 매력이라고 하면 그 수많은 상징들로 독자들을 곤혹스럽게 하면서도 또한 그 특유의 스토리라인을 이끌고하는 힘으로 어쩌면 많다면 많을 수도 있는 분량의 글을 순식간에 읽어버리게 한다. 해변의 카프카는 전작보다도 더욱 유머러스하며 추리소설과 같이 흥미진진하다.

 

일독! 권할만한 흥미진진한 하루키의 소설이다.

Posted by Tony Kim :

학교도 늦게 끝나고 은랑과 경민이 중국 여행 중이라서 수민이 혼자 어머님 댁에 있어서 원래는 참석할 생각이 없었는데 전화가 와서 후배 여자애가 가기 힘들 것 같다고 하니까 하도 실망하는 기색이 역력해서 조금 고민하다가 사당동 가서 수민이 잠들은 것 보고 그냥 가기로 해서 간만에 신입생 환영회에 참석했었다. 그리고는 새벽 2시까지 후배들에게 잡혀서 ㅠ.ㅠ

아래 사진은 마지막에 어디 소주 마시면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욱이라고 같이 사진 찍었다. 얘도 빨리 어디 장가 안가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상욱이하고 너는 왜 이렇게 인상이냐?

사용자 삽입 이미지

회장하고 같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후배들...
 
2시 정도되서 어머니한테 전화가 와서 부랴부랴 집으로 갔다. (앞집 아저씨가 차를 빼달라고... ㅠ.ㅠ) 왜 나는 동문 모임만 가면 이렇게 늦게까지 앉아있는걸까??
Posted by Tony Kim :

수민이랑 주말 나들이~~

2007. 3. 23. 10:28 from FaMiLy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날씨가 좋은데 게으른 와이프와 아들은 도통 호응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수민이만 꼬셔서 민속촌에 갔지롱.


 

사용자 삽입 이미지
꼬마 석상이랑 사진도 찍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자기 굽는데도 가보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엿 먹는게 나는 좋아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상 묘기 같은거는 별로 흥미가 없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민이는 오리가 더 관심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강가에 붙잡혀서 30분을 ...ㅠ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제의 오리.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리야 놀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 왜 오리가 안놀아주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빈대떡 먹자고 꼬셔서 간신히 빠져나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빈대떡. 하나에 8000원!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암튼 같이 사진 한방 찍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 이건 좀 틀리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농악을 보러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돌다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막 돌아보자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들이 넋을 빼고 보고있었다.
 
 
 
 
 
 
 
 
 
 
 
 
 
 
어 밧데리가 다되었네... 사진 그만 찍고 구경이나 할까... 어 수민이도 자잖아 ㅡㅡ;;;
Posted by Tony Kim :

축구 보러 가자~~~

2006. 10. 1. 15:15 from FaMiLy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랜만에 애들 데리고 우리나라 축구 발전을 위해 K League를 보러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는 길에... 날씨도 아주 덥거나 춥지 않고.. 축구 보러가지 좋은 날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축구 보러 간다고 신난 경민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원 월드컵 경기장 바로 전에 수원성..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근접 촬영으로 한 장 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상을 깨고 엄청 차가 많이 막혔다. 알고 보니 다른 데는 몰라도 수원은 축구 인기가 좋다. 딴에는 집에서 넉넉하게 출발했다고 생각했는데 경기 시작할 때 맞춰 간신히 입장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드디어 입장해서. 은랑과 수민이 화장실에 가서 기다라다가 한 장. 경민이는 축구를 빨리 보고 싶어하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축구 시작! 결론은 수원이 울산에 1:0으로 이겼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축구장에서 왜 태권도는 하는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민이는 뽀뽀를 좋아해~~ 나는 싫어!
Posted by Tony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