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경계를 지나면 당신의 승차권은 유효하지 않다

저자
로맹 가리 지음
출판사
마음산책 | 2014-02-15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로맹 가리 탄생 100주년, 마음산책 로맹 가리 소설 여섯 번째...
가격비교

 

책을 읽으면서 다소 기분이 않좋았습니다. 책 분량으로만 보면 하루 이틀이면 다 읽을 수 있는 정도지만 손도 잘 안가고 일주일이 넘게 걸려 책을 다 읽었습니다.

 

내용은 … 1970년대 쯤을 배경으로 하는데 주인공은 과거 레지스탕스였고, 한때는 잘 나가는 출판사 경영인이었지만 지금은 경영상 위기를 겪고 있고, 나이가 59임에도 불구하고 25살 애인도 있는, (가족은 묵인?) 그 연세에도 성욕은 대단히 왕성하셔서 남자라면 최소 일주일에 서너번은 거사를 치루셔야 한다는 마인드를 가지고 계시는데, 나이가 나이이신지라 (당시에는 비아그라도 없고) 이제 발기부터 문제가 되시니 회사는 망해가지, 애인 앞에서 쪽 팔리지 뭐 이런 난국에 처한 분이십니다.

 

그런데 책을 읽는 내가 왜 불편할까요? 와이프와 장성한 아들이 두 눈 시퍼렇게 뜨고 있는데 돈 좀 있으시다고 애인하고 그거 할 생각만 하고있는게 한심해서? Owner가 되서 회사는 망해가는데 돈을 펑펑 쓰시는게 어이없어서? (애인에, 고급 호텔에, 재규어 같은 고급차에, 금시계 쯤은 잃어버려도 Cool하시고..) 그러면서도 딴에는 레지스탕스 출신이라고 애국자 코스프레하면서 철학적 고뇌를 하시는 듯한 모습이 맘에 안들어서?

 

사실 책을 읽다보면 작가는 주인공을 통해 당시의 프랑스 상황을 투영하려 했다는 것을 단박에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2차대전 이후에 미국 주도로 경제도 성장하고 강대국 대열에 포함되어 좋은 시절을 보냈지만 이제 한때는 식민지였던 중동과 아시아에 자원은 종속되고 경제적으로도 위협을 받는 것 같고, 경제력 측면에서도 미국은 말할 것도 없고 독일에게도 치이는, 과거의 영화에 취해 노쇠해가는 듯한 프랑스를 말이죠. (뭐 결론적으로는 아직도 프랑스는 세계 강대국 중의 하나지만)

 

우리는 일제의 식민지를 경험한 비극적 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위안부, 강제징용과 같은 일제의 악행은 잊혀지지 못할 치욕이고요. 그런데 과거 식민지를 경영했던 프랑스를 포함한 서양의 제국주의는 일제보다는 나았을까요? 그들은 왜 비난받지 않을까요? 뭐 이를테면 더 문명화된 식민지 운영이라도 해서 피식민국들이 감사라도 하는 수준이었나요? 

 

과거 미테랑 대통령 시절 우리나라에 문화재 반납과 관련된 협상이 진행된 적이 있습니다. 조선 말기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인들이 강화도에 무단 침략하여 대거 문화재를 약탈해갔었는데 약탈 문화재에 대해 당연히 우리는 반납을 요청했었고 당시 검토 중이던 고속철에 자국의 TGV가 선정되길 원했던 프랑스가 문화재 반납을 당근으로 활용했던거죠. 결국은 반납이 아닌 장기 임대 형식으로 외규장각 도서는 돌아왔지만 당시 프랑스 내부에는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이 만만치 않았습니다. 그걸 보고 무슨 생각이 들었었을까요? 똘레랑스니 뭐니 고상한 척은 다 하지만 결국 프랑스 일부 사람들에게 한국은 아시아의 미개한 이등국가이고, 문화재니 뭐니 관리할 능력도, 자격도 없는 사람들로 비춰지나보다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인공은 도덕적으로 보호받을 만한 사람이 되지 못합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딸 나이 또래의 애인을 데리고 망해가는 회사에 대한 책임은 도외시하고 낭비를 일삼는, 그러면서도 자신의 이런 모든 행동과 상황을 철학적인 고뇌로 치장하여 사실 자신은 애국자였고 가족을 위하는 구식 남자일 뿐이라고 자기 합리화에 몰두합니다. 책 곳곳에 묻어나는 외국인에 대한 숨기지 않는 혐오와 비하적 묘사는 더더욱 기분을 상하게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이런 주인공의 해피엔딩이 더 기분 나빴습니다.

 

프랑스 뿐만 아니라 서구의 열강들의 현재의 번영은 결국 과거 식민지 시절의 약탈에 뿌리를 박고있지않나요? 예술과 철학의 국가인양 고상한 척, 정의가 자신들의 소유인 것처럼 떠들어 선전하지만 TGV 팔려고 문화재를 흥정하는 모습이 사실 그들의 민낯일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osted by Tony Kim :

 


사람의 세상에서 죽다

저자
리루이 지음
출판사
시작 | 2010-03-29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중국 4대 설화 《백사전》을 소설로 다시 만나다중국 4대 설화 ...
가격비교

아무래도 나이 마흔이 넘어 가면서 더 감성적이 된다는 생각이 책을 읽으며 들었습니다.

 

백사전을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어느 정도는 전형적인 중국설화의 구조를 따릅니다. 3,000년 묵은 백사가 인간세상을 동경하여 수양을 통해 인간의 모습을 갖추었으나 마지막 고비를 못넘어 요괴가 되고, 서생을 유혹하지만 고승인 제요인에 의해 최후를 맞는다는 이야기가 크게 중심이 되죠. 이러한 기존 백사전의 이야기에 이 작품은 분해아의 에피소드가 더해져 두 축을 이루다가 마지막으로 현대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이야기로 마무리됩니다. 3개의 이야기가 번갈아 나오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세가지 이야기를 관통하는 주제는 소수자에 대한 배척과 탄압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이 거대한 세상은 영웅담이나 우화에서와 같이 선악만으로 평가받고, 보상받는 세상은 아니죠. 또한 선악, 정의라는 것도 (주류 세력에 의해) 변할 수도 있는, 절대적이지는 않을 수도 있는 상황을 최근에도 종종 보지 않나요?

 

성경의 창세기로부터 뱀은 인류가 가장 혐오하는 동물 중의 하나입니다. 인간들이 이렇듯 극도로 혐오하는 백사 한마리가 인간 세상을 동경하여 3,000년이라는 긴 시간 수양을 통해 인간이 되려하였습니다. 신선의 세계인 반도원을 노닐던 청사 한마리도 삼족오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 인간 세상을 동경하여 선계를 버리고 인간의 모습으로 변하여 내려옵니다. 백소정은 도술을 부리던지 무시무시한 무력으로 인간 세상을 제압하여 군림하려는 생각은 전혀 없었습니다. 오히려 비약을 만들어 인간 세상에 도움이 되려하였었죠. 분해아도 과거에 급제한 수제였습니다. 인간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가진 이들을 과연 세상은 잘 받아주었을까요? 능력마저 없는 소수자는 모멸적일 정도로 무시와 멸시를 받는 세상입니다. (향류낭이 분해아에게 너도 나를 싫어하냐고 말을 하는 장면에서 정말 눈물이 펑펑 솟았습니다.) 하지만 백소정도, 청아도, 분해아도 그리고 현대의 까지도 모든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혐오의 대상은 결국 혐오의 대상으로 남게됩니다.

 

동성연애자, 종교적 징병거부자, 세계 각국에서 이루어지는 소수민족 탄압. 다르다와 틀리다는 엄연이 같은 뜻이 아니라는 것을 이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다시 되새기게 됩니다.

 

Posted by Tony Kim :

 


환영의 도시(환상문학전집 7)

저자
어슐러 르 귄, 르 귄 지음
출판사
황금가지 | 2005-06-30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이 책은 "SF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받는다면 1순위는 르귄이다...
가격비교

 

사내는 모든 기억을 잃은 채로 어디인지 모를 황야에 내팽개쳐져 있습니다. 자신이 누구였는지, 어디서 왔는지 모든 것들이 기억나지 않습니다. 길을 읽고 헤매던 그를 발견한 사람들은 노란색 눈의 이방인이 불길한 징조일지 몰라 두려워하지만 결국 아이를 대하듯 그를 가르치며 팔스라는 이름을 주어 거둬들입니다. 5년 반이란 세월이 지나 팔스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뒤로 하고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무슨 이유로 이곳에 있으며, 무엇을 위해 이곳에 있는지 답을 찾으러 황폐화된 대지를 마주하며 정복자들의 도시인 에스토치로 향합니다.

 

르귄의 헤인 시리즈 중의 하나인 “환영의 도시 (The moon is harsh mistress)”는 시리즈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광대한 헤인 세계관에 포함된 이야기 중 하나입니다. 배경이 되는 먼 미래의 지구는 모든 문명이 파괴되었으며, 외계의 “싱”이라고 불리는 침략자들에 의해 지배당하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워낙에 심한 파괴를 받아서이기도 하지만 “싱”들이 일정 규모 이상의 문명 집단이 재건되는 것을 철저히 탄압하여 부족사회 정도의 낙후된 문명을 가진 군소 집단들로만 서로를 경계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팔스는 이러한 부족들의 목숨을 위협하는 위기를 이겨내며 머나먼 미지의 도시, 에스토치를 향합니다.

 

“환영의 도시 (The moon is harsh mistress)”는 글쎄 뭐랄까요.. 어떻게 보면 전반부는 “늑대와 함께 춤을”에 “더 로드”와 같은 분위기를 섞어놓은 듯한 이미지를 연상시킵니다. 완전히 이질적인 하지만 따뜻한 사람들의 세계에 동화하는 과정이라던지, 황폐화된 문명의 세계를 통과하는 험난한 여정의 로드무비 적인 설정이라던지 하는 점을 보면요. 하지만 사실 이 작품의 진정한 화두는 팔스가 “싱”들의 도시, 에스토치에 도착한 후에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천신만고 끝에 도착한 에스토치에서 팔스는 도시의 지배자들이 알려준 이야기에 갈등하게 됩니다.

 

동굴 속의 사람은 자신이 경험한 세계만이 진실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의 진실은 사실 왜곡된 오해였다고 누군가 알려준다하여도 그 또한 왜곡된 진실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선택의 기로에서 주어지고, 보여주는 것들이 실상은 판단을 흐리고 현혹하기 위한 환상이었다면요. 그들이 만든 Frame 너머의 가능성을 어떻게 통찰해낼 수 있을지, 그로 인해 얻어질 결과가 어떻게 될지, 그리고 선택의 결과를 감당할 수 있을지는 초기 철학 이후의 인류의 지속적인 화두 중의 하나였습니다. 라마렌이라는 본래 자아를 찾은 팔크는 이러한 딜레마에 처하게 됩니다.

 

결론은 책을 읽는 독자들의 몫. 지구를 떠나며 라마렌이 된 팔크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시간이 지난 후 다시 돌아오겠다는 파스와의 약속을 그는 돌이켜보았을까 궁금했습니다.

 

Posted by Tony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