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영 환경 종강

2007. 6. 15. 20:22 from Ajou MBA

중국 경영환경 강의가 종강했다. 3학기 강의도 이제 거의 마무리가 되어가는 것 같다. 마지막 시간이라고 경영관 앞에서 야외수업을 했다. (뭐 설렁설렁~~~)

강의 열심히 하시는 교수님. 다음주면 중국에 다시 들어가신다. 선교사업의 하나로 거의 보수도 크게 안받고 중국에서 일 한다는게 대단하시다는 생각도 들고...

같이 강의 들었던 원우분들.... 


마지막 단체 사진. 학점은 그닥 맘에 들지않았지만 암튼 재미있게 들었던 강의다.

Posted by Tony Kim :

Stereotype & Ambiguity

2007. 6. 8. 08:34 from Ajou MBA
 

조직 운영에 있어서 리더의 역할은 중요하다. 조직 구성원 개개인이 탁월한 역량을 가지고 있더라도 결국은 이러한 자원을 활용하여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은 리더에게 크게 의존한다. 달려있다. 일반적으로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크던 작던 한 조직의 리더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업무 경험을 실무 과정부터 오랜 시간에 걸쳐 경험했으며 이러한 오랜 시간의 경험이 한편으로는 업무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게 하는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반면에 업무 수행에 있어서 많은 경우 경험에서 비롯된 선입견을 가지고 이해를 시작하게 되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사실 비단 리더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의 경험이 쌓인 실무자의 경우도 수행해야 될 업무에 대해 업무 규정 및 해결책 모색 단계에서 선입견에 의해 문제 인식을 잘못하여 성과 극대화에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해당 건에 대해 말하기는 어렵지만 수년 전 당사 생산 중이었던 Notebook PC에서 품질문제가 발생되어 수주일 동안 출하가 보류되었던 적이 있었다. 대부분의 품질 문제는 minor하거나 이미 경험했던 문제들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당시 발생된 문제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문제였던 이유로 해결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더욱 해결을 지연시키게 된 사유중의 하나가 당시 품질담당자가 문제 발생 초기에 해당 문제에 대한 분석 이후 문제점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고 직관에 의존하여 결론을 미리 내리고 이 결론에 맞춰 발생 원인을 찾아나가게 되어 문제 해결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해당 업체 담당자, 설계 담당자, 구매 담당이 다른 의견을 제시하여도 언성을 높이기만 할 뿐 자신의 의견을 고집하여 자신의 이론에 근거하여 해결책을 내놓았지만 동일 문제가 재발되었고 결국은 근본 원인을 찾아내게는 되었지만 약 2주 가까운 시간을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한 논란으로 낭비하게 되었다.

 

물론 담당자 개인의 직관이나 경험에서 비롯된 판단이 가치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또한 많은 경우에 있어서 최적의 해결책은 모든 가능성에 대해 혼자가 힘들다면 업무와 관련된 모든 담당자들의 참여가 전제된 상황에서 객관적인 검토 이후에 찾아질 수 있다. Stereotype은 문제의 인식이 어떻게 이루어지냐는 측면에서 생각될 수 있다. 관리자는 모든 사람은 잠재의식 중에 자신이 보고자 하는 측면만을 보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실무선에서 업무가 수행될 때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조율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Ambiguity와 관련해서는 결국은 책임감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된다. 물론 언어의 특성상 본인의 의도를 100% 완벽하게 타인에게 전달한다는 것이 많은 경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개인의 의사전달 능력의 차이도 있고, 언어의 차이로 인해 이런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고 (외국 Buyer나 협력업체와의 업무 수행의 경우) 기술적으로 표현하기가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곤 한다. 하지만 의도적으로 모호한 표현을 사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를테면 내 손에 피를 묻힐 수는 없다는 경우가 이런 Case인데 일부 상급 관리자에게서 종종 이런 경우를 보곤 한다. 핵심을 겉도는, 명확하지 않은, 암묵적인 지시 이후에 결국은 실무선에서 제안해서 채택된 것으로 몰고 가는 식인데 정책적으로 민감한 사항에 대해 이런 경우가 발생되곤 한다.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책임감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업무를 하다 보면 추후 문제 발생에 대한 책임 소재를 놓고 논란이 되는 경우가 있고 그래서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회의록이나 의사 결정 과정을 문서화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잘못된 판단으로 인한 문제 발생은 반드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하지만 책임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 이런 식으로 자신이 안고 가야 할 위험을 자신의 하급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도덕성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모호한 지시에 기인한 업무 지연은 명약관화하다. 자신이 감수해야 될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하급자를 희생시키고 수많은 사람들이 명확한 의도를 몰라 우왕좌왕하면서 시간을 낭비하게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         결 론

 

1.       문제 해결 및 인사관리에 있어서 문제 인식 단계 및 처음 상대방을 대면하는 과정에서 가능한 선입견이 개입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가능하다면 Process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업무 표준화 필요)

 

2.   의도적으로 책임회피를 위해 모호한 지시를 내리는 것은 도덕적 문제다. 의도적이던 무의식 중에 내려졌던 모호한 지시는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가져오며 또한 연쇄적인 책임 떠넘기기를 유발하게 되어 업무의 부실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

Posted by Tony Kim :

Work Value

2007. 5. 29. 08:37 from Ajou MBA
 

개인적으로 기회가 된다면 한 번 (많으면 두 번 정도) 회사를 옮기는 경험을 해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다른 여러 가지 이유도 있겠지만 너무 오랫동안 한 회사에서 그것도 한가지 업무만 하면서 버티고 있다는 것도 참으로 심심한 인생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회사에서 업무 Rotation을 시행하고 있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물론 기존에 익숙해져 있던 업무에서 전혀 새로운 업무로 이동한다는 것이 부담이 될 수 있고 또한 회사의 입장에서도 업무 변경에 의해 기존의 원활하던 업무가 삐걱거릴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는 없겠지만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업무 Rotation을 시행하는 건 이와 같은 이유에서라고 생각된다.

 

취업을 하기 전에는 직장만 들어가면 무슨 일이라도 열심히 할 것 같지만 일단 입사에 성공해서 업무를 맞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업무에 혹은 직장에 실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지난 주에 배운 Discrepancy Model이 이 현상을 설명할 경우에 적합할 것 같은데 사실 남의 떡이 커 보인다고 막상 보기에는 좋아 보이던 업무나 회사에 들어가보면 그렇지도 않다는 걸 깨닫는데 걸리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물론 굉장히 좋은 직장이야 어디엔가 분명히 있겠지만.)

 

직장을 한 번 옮겨본 경험에서 얘기하는 것이지만 완벽한 직장은 있을 수 없겠지만 불만의 정도는 사실 차이가 있을 수는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불만은 모두 회사 탓일까? 회사라는 조직의 구성원이 종업원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직원의 문화도 이러한 불만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이를테면 어떤 직원의 경우는 입만 열면 회사에 대한 불만을 얘기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런 사람들이 주변에 많으면 많을수록 점점 더 별 생각이 없던 사람들까지도 동반 우울해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객관적인 사실로서의 문제점도 있지만 주관적인 자세에 의해서 특정 문제점을 받아들이는 자세는 다를 수도 있다. 이를테면 전에 다니던 회사에서는 출근 시간이 8시 30이었는데 주변의 회사에서는 이렇게 이른 시간에 출근하는 경우가 없다면서 매일 사무실 사람들이 불만을 토로하고는 했었다. 그런데 뭐 어떻게 할거란 말인가? 불평한다고 회사에서 갑자기 직원들한테 내일부터는 오후에 출근해도 된다고 할 리가 만무하지 않은가? 지금 회사는 7시 50까지 정문을 통과해야 지각으로 처리가 되지 않는다. 뭐라고 불평하는 사람 (물론 없는 건 아니지만) 그렇게 많지 않다. 대신 퇴근시간이 당겨지지 않았는가. 문제는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 구성원들과 얼마나 합의를 이루었는지가 중요하다. 사전에 아무런 양해 없이 정책이나 활동이 진행된다면 불만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고 부하직원이 가족 중에 한 사람이 몸이 않좋아서 내일 휴가 좀 쓰고 병원에 같이 가보겠다고 하는데 너네 가족들은 뭐 그렇게 아픈 사람이 많냐?”라고 하는 관리자가 있다면 그 조직의 구성원들의 만족도는 애써 조사하지 않아도 미뤄 짐작할 수 있겠다. (실제로 그런 사람들이 있다.)

 

한편으로 생각하면 다른 모든 거창한 이론이나 정책보다도 가장 중요한 건 구성원 간의 조직간의 예의나 배려하는 마음이나 뭐 그런 기본적인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예의가 없고 자기 입장밖에 생각을 못하는 사람에게는 다른 무엇도 답이 될 수는 없지 않겠는가? 논어에도 나오는 말이지만 내가 당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하지 않는다는 기본적인 예의만 가지게 된다면 (물론 그런 경우를 완전히 피하기는 어렵겠지만) 부득이한 경우에도 상대방의 입장에서 제안을 하게 되고 또 받아들이게 되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업무의 상대 부서와 그 부서원까지 고객이라는 개념은 그래서 효용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다. 홈쇼핑 상담원에게 전화를 했더니 퉁명스러운 말투로 나중에 알아보고 전화 주겠다고 하면 그 회사 물건을 사서 쓰겠는가? 자료를 계속 요청하고 문제점에 대해 계속 따지지만 그 상대 부서가 있기 때문의 나의 일이 있는 것이고 그래서 내가 회사에 일하면서 월급을 받는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 업무를 수행하는 나의 자세도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

 

- 결 론

1.       사회 생활에 있어서 기본적인 매너는 지켜야 한다.
2.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자.
3.       고객이 정말 원하는 것이 뭔지를 고민하자.      
4.    고객이 요구하면 빨리 응대하자

Posted by Tony Kim :

Personality and behavior

2007. 5. 18. 08:39 from Ajou MBA
 

지난주 강의는 Personality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언급했으며 Big 5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구체적인 설명을 시도했었다. 이를테면 (물론 다른 요소들도 있겠지만) 중요한 5개의 요소로 성격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 5개의 구성 요소는 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으로 사람들의 성격은 이 5가지 변수들의 다양한 조합에 의해 특성화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제 하에 개인의 성격을 파악하여 개인의 특성에 맞는 위치와 임무를 부여함으로써 조직의 효율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강의의 요지였다.

 

그러나 편의상으로 이런 이론을 만들어 적용한다는 것이 일면으로는 논리적인 도구로서의 효용가치가 있어 보이기는 하지만 문제점도 없지는 않아 보이며 성격, 혹은 개성이라는 복잡하고 창조적인 대상을 미리 만들어놓은 틀에 짜맞추려는 방식일 수도 있어 보인다. 물론 특정 사회와 집단에 속한 개인이 공통적인 특성과 문화를 가지며 공유한다고 볼 수는 있다. 남자와 여자가, 한국인과 중국인이, 학생과 교수집단이 다른 가치관과 특성을 가지고 고유의 가치관에 의거하여 차별화된 행동을 취한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할 것은 없다. 남성에게는 여성과는 차별화되는 남성들만의 공통 요소가 있고 한국인에게는 일본인과 다른 우리들만의 고유의 문화가 존재한다. 하지만 나는 선택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말에서 의미하는 바와 같이 인간의 특성은 성장을 통한 무수한 선택의 과정에서 축적된 개성의 집합체라는 것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비슷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 의도적인 정형화의 가장 대표적인 오류 중의 하나가 혈액형에 따른 성격 차이와 같은 얘기다. 도대체 그 수 많은 13억 인구의 인격이 고작 4개의 성격으로 구분이 된다는 건가? 스포츠 신문에 나오는 별자리 운세 같은 것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물론 강의의 내용이 후천적인 성격 형성 과정에 대해 강조한다는 것을 들어 이와 차별화하여 이해해야 된다고 말할 수 있겠지만 Openness 한 사람에게 어울리는 직무가 있고 Agreeableness 한 사람에게 맞는 직무가 있다는 말도 굉장한 위험한 사상을 내포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계급으로부터 현재와 같이 자유로울 수 있었던 (최소한 공식적으로라도) 것은 그리 길지 않다. 우리나라의 예만 들어도 조선왕조가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몰락하기 전까지 수 천년 동안을 나누어진 계급의 구성원들이 각자의 계급에 맞는 아니면 주어진 일에 종사하면서 수탈 당하고 수탈하는 역사를 계속하고 있었다. 다른 나라들도 근 100, 200년 사이에 변한 경우가 대부분이지 마찬가지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꺼꾸로 생각하면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사람들로 하여금 특히 특정 집단에서 기득권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이러한 기득권을 방어하기 위한 계급화의 유혹에 빠지기 쉬울 수도 있다는 가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격에 맞는 사람은 이러한 직무가 맞고 또 저러한 성격의 사람은 저런 성격의 직무가 맞다는 결론이 제 3의 객관적인 평가라는 이론적 형식을 빌려 실제로는 사실과 틀린 것일 수도 있거나 아니면 잘못된 이론에 근거한 것일 수도 있는데당신은 측정을 해보니 이런 성격이니까 여기에 가서 이러한 일을 하세요.”라는 식으로 차별의 도구로 악용될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고민해봐야 된다고 생각한다. 실무 담당자 선에 한정된 것이라면 (그래도 그렇지만) 몰라도 이러한 이론이 한 개인의 계급 이동을 막아버리는 도구로 사용된다면 이것도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될 문제가 아닐까?

 

- 결 론

 

Personality를 고려한 업무 배치는 조직 구성원에 대한 참조 자료나 보조적인 자료로 사용되어야지 절대적인 권위를 가지는 도구나 이론으로서 적용이 되어서는 안될 것 같다. 조직이 미리 정해놓은 Logic에 의거하여 구성원의 자유의사를 무시하게 된다면 다른 형태의 계급화 및 차별의 도구로서 악용될 가능성에 대해 심사 숙고해야 될 것 같다. 인격, 개성, 기질 이러한 여러가지로 불리는 개인의 특성화된 세계는 예측할 수 없이 변동 가능하며 쉽게 규정지어질 수 없는 영역이라는 것이 그리고 사람들에 따라 여러가지로 해석되고 이해될 수 있는 상대적인 영역이라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가져야 할 것 같다.

Posted by Tony Kim :
 

지난주 강의에서 강조한 사항 중의 하나는 조직의 책임자는 구성원의 개성을 가능한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이유는 구성원의 개성이 구성원의 조직 내에서의 업무 수행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이다. 개개인의 개성을 고려하지 않은 업무 배치와 일련의 해당 업무와 관련된 교육이나 배분 등이 모두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의미다.

 

아직 완전히 해당 내용에 대해 진도가 나가지 않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의 인격, 개성과 업무 상관 관계가 어떻게 연결이 되며 성과 측면에서 어떻게 직접적인 연관관계를 가지게 되는지를 어떤 측면에서 배우게 지가 당장은 가늠이 되지 않고 있다. 어떤 개성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측면의 업무에 어울리고 다른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다른 형식의 업무에 맞는다는 식이라면 흥미로운 주제가 수도 있겠지만 반면에 가능성과 가변성이라는 측면을 시작 단계에서 닫아버리는 식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아직 진도가 나가지 않은 상황이어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추후 과제 주제로 정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

 

다른 측면에서 해당 주제에 얘기하자면 굳이 직장 생활에만 한정된 내용은 아니지만 개인의 인성 성숙도가 조직생활에 그리고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며 신규 인원 채용 해당 사항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되어야 한다. 가지 내용만 언급해보자면

 

1. 독선적인 성격은 업무 효율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조직의 업무 수행의 대부분은 혼자서 정리할 있는 성격의 업무보다는 유관 부서 고객, Supplier와의 협업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인이나 조직의 의견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나은 방법을 찾아가는 것과 미처 개인이 파악하지 못한 기회나 문제점을 찾아내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한데 처음부터 답을 정해놓고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경우 합의 도출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게 되며 설혹 밀어붙이기 식의 이러한 의사결정이 채택이 되더라도 구성원 간의 합의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 이후 업무 수행이 지지부진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있다.

 

의견 : 타인의 반대를 자기 개인에 대한 반대가 아닌 생산적인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의견제시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다.

 

2. 고압적이며 무례한 자세

 

물론 조직의 리더나 업무 책임자인 경우에 있어서 중구난방식의 환경에서는 때로는 과감한 카리스마를 발휘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권위와 무례는 다르다. 대기업에 근무하는 관계로 일부 조직원의 경우 협력업체 담당자나 구성원에 대해 당연하다는 듯이 마구 대하는 경우를 때로는 보기도 하는데 거의 확정적으로 말할 있는 것은 이런 사람일수록 업무 또한 문제가 많다. 무례한 사람은 상대가 자신의 하부 조직원이 되었던 아니면 협력업체 담당이 되었던 불가피하게 적을 만들 밖에 없으며 단기적으로 어떨지 몰라도 적으로 둘러싸인 사람이 업무 수행에 탁월한 성과를 만들어 수는 없다.

 

의견 : 글로벌 에티켓은 외국 사람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옆에 앉아있는 동료, 협력업체 구성원, 나의 고객 모두에 대해 가져야 되는 것이다.

 

3. 책임 회피 자세

 

실무 담당에서라면 (그래도 문제가 있지만) 때로 어쩔 없는 측면이 있지만 가끔 자신의 책임이나 잘못을 자신의 조직원에게 책임 전가하는 리더들을 보곤 한다. 아직 리더급이 아니라서 입장을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리더는 책임을 떠안는 위치라는 생각이다. 하물며 자신의 책임이나 업무를 타인에게 전가만 하는 식이라면 문제가 심각하다. 모든 경우에는 책임과 권한이 있기 마련인데 자신의 책임을 다하지 않으면서 권리만 주장한다면 이러한 권리 주장이 계속해서 받아들여지기는 힘들다.

 

의견 :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도 있지 않은가. 남에게 미루기만 하는 사람은 조직에 있을 필요가 없다.

 

금주 Report 개성이라기보다는 성격과 업무와의 관계에 대해 언급해보았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개성과 특정 업무와의 연관성 측면이라면 강의를 받은 이후에 해당 사항에 대해 Report 제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osted by Tony Kim :

CorreIational Design

2007. 5. 4. 08:42 from Ajou MBA
 

One of things we learned from this weeks lecture was Correlational Design This is the process by which we find out the factor that affect directly to another factor we want to improve or increase in the company or certain society. And after then we have to find out the third factor which affect most previous both two factors. For example, if you find out job satisfaction among employees directly affect their performanc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how to increase employees job satisfaction rates and we have to understand that there is no absolute, almighty and always right answers to this question but we have to find out our own after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tool and knowledge we can use

 

Companies always have a target to achieve and problems to solve. We have profit target, revenue, development schedule and sales volume to achieve and we also have problems to solve like delay in delivery, incorrect forecast, Overhead Cost and weak efficiency. We all know the answer that we have to cut the price if our competitors sales price is lower than us. But how? We have to figure out first which factor causes this problem and only after we find out the root cause then we can settle down and think about the solutions. Do we have higher sales prices cause we buy parts with higher prices than they do? Do we spend more money cause of inefficient process problem? Do we have higher inventory rate? These all cannot be main reason but only after we find out that, then we can move forward to the next step to solve the problem.

 

Currently Im in the procurement Gr. in the company and my main jobs are things like cost management and development follow up but I also have to supply items to production lines on time to precede productions without problems. About 3 years ago, the situation was serious. As the production schedule is a main factor we have to consider before we release purchasing orders to suppliers, we have serious problems in correctness of this production plan and as the plan is not correct we have a inventory problems. Some items are stocked in a warehouse for several months and production lines yell us to provide another shorted items as soon as possible in contrary.

 

Correctness of production schedule is main factor for proper inventory level. If the plan is correct, you can possibly have proper inventory rate and if the plan changes dramatically like a crazy dancer, then we cannot know today what we have to buy tomorrow. People often mention about Toyota production system and chant their JIT System but this is enable cause they have stable production plan so that they can possibly carry out the innovation like JIT. (Toyota confirms 3 months production plan and production plan in one month is fixed. Not changeable.

 

To summarize this,

 

Stable production plan -> Proper inventory level and competitive unit price ->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and competitive sales price -> Sales increase

 

After considering business characteristic, we cannot expect similar level of stability like 3 month fixed production schedule but we cannot have any doubt that stable plan is a key factor for the companys competitiveness. Then how can we have plans which are at least better than current ones? Just torment the production plan Gr. staff? After discussing this with related persons in the company, we had to admit that we couldnt expect 100% accuracy if we considered unexpected situations but we also could confirm below problems.

 

Sales : They confirmed sales model line up and sales cost too late. Without these information we cannot expect sales volume.

Management planning : Sales model line up confirmed too late, so we have a too little time to calculate sales costs.

 Production planning : Sales forecast were released too late so we cannot release production plan on time.

 

After considering above factors, we arranged internal meeting and set up a line up confirm deadline and decided to held periodical production meeting to share issues and discuss about the solutions. After this we can witness a gradual improvement as a result.

 

Results

 

1.  You have to find out the main factor that causes the problem directly. If you just blame the person in charge, you cannot expect any improvement.

2. There is no royal road. To solve the problem, you have to scrutinize which can be the most efficient and easy way to solve the problem. Of course, you have to use every possible means and tools you can use to solve the problems.

Posted by Tony Kim :
 

One of the main lesson from the last class is the diversity of organizations participants. We all have to remind tha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difference between members to succeed in this globalized business environment.

 

 Even when I was a high school student, Koreans and Korean society were very hierarchy and conservative. For example, one of my cousin who is older than I am by one year had an experience of hearing blames from an unknown old lady just because she rode a bicycle. We can not dream of and even cannot remember cases like this in Korean society now in 2007. At that time, it was a closed military government country so this could make sense at that time but now when the active interchange in the world became a precondition for growth, everyone of participants in society, in company and in any organization should have to accept voluntarily this change. Rome who opened its door and even accepted the defeated as its leaders Group succeeded but 19 and 20 centurys imperialist countries that discriminated their colony were failed. Athens that   were reluctant in sharing its citizenship with outsider were perished but United State remains as a super power cause they rigorously accepted and opened its door to all colors. Considering this, we cannot expect future if we keep emphasizing and adhere to pure blood line and solitariness.

 

Im currently working at mechanical procurement Group and cause of its job characteristic we need to do physically difficult works sometimes and have to have knowledge about mechanical things. And when our group leader announced last year that he recruited a woman graduated as a new recruit, some complained and worried if she could adjust herself. But the result after 1 year have passed? She carry out her job without any problem up until now. We also have to spend and work with foreigner many times cause of business issue and at the first time we worried if my counter partners can go ahead with me smoothly but as time goes by, we are surprised to understand that we have many things in common. To find out if he thinks or acts differently and understand it is important thing but the more important one is to find out which value we can share together and if there is anything in common. We surely can expect to achieve something faster and efficiently from the group that has its members from similar background and have a similar culture. But with the same reason, if the members have same target and have varieties of resources, they can create more distinctive outcome.

 

In 1970 and 1980, we had a relatively small economy so we could produce the product we like by ourselves to our market and could expect benefit out of there. But the situation changed now. Most of business models cannot make profit if they are limited in domestic market. It surely is important to develop and make so called mega hit model which can be sold at any place of the world but along with this, we also have to develop ourselves to be enable to develop customized products for specific market. To achieve this, we have to understand varieties of customer from different background so that we can find out what they want faster and correctly. Women can find out what women wants more effectively and Islam knows what Islam wants better. American employee knows what American customers wants better and Congolese employee understand Congolese customer better.

 

After all, my conclusion are like below.

 

Conclusion

-. Taking an exclusive attitude toward persons who have different background can only lose your competitiveness.
-. Try to find out if there is a value you can share together.

Posted by Tony Kim :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2007. 4. 30. 09:49 from Ajou MBA

 

One of the main lesson from the last class is the diversity of organizations participants. We all have to remind tha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difference between members to succeed in this globalized business environment.

 

 Even when I was a high school student, Koreans and Korean society were very hierarchy and conservative. For example, one of my cousin who is older than I am by one year had an experience of hearing blames from an unknown old lady just because she rode a bicycle. We can not dream of and even cannot remember cases like this in Korean society now in 2007. At that time, it was a closed military government country so this could make sense at that time but now when the active interchange in the world became a precondition for growth, everyone of participants in society, in company and in any organization should have to accept voluntarily this change. Rome who opened its door and even accepted the defeated as its leaders Group succeeded but 19 and 20 centurys imperialist countries that discriminated their colony were failed. Athens that   were reluctant in sharing its citizenship with outsider were perished but United State remains as a super power cause they rigorously accepted and opened its door to all colors. Considering this, we cannot expect future if we keep emphasizing and adhere to pure blood line and solitariness.

 

Im currently working at mechanical procurement Group and cause of its job characteristic we need to do physically difficult works sometimes and have to have knowledge about mechanical things. And when our group leader announced last year that he recruited a woman graduated as a new recruit, some complained and worried if she could adjust herself. But the result after 1 year have passed? She carry out her job without any problem up until now. We also have to spend and work with foreigner many times cause of business issue and at the first time we worried if my counter partners can go ahead with me smoothly but as time goes by, we are surprised to understand that we have many things in common. To find out if he thinks or acts differently and understand it is important thing but the more important one is to find out which value we can share together and if there is anything in common. We surely can expect to achieve something faster and efficiently from the group that has its members from similar background and have a similar culture. But with the same reason, if the members have same target and have varieties of resources, they can create more distinctive outcome.

 

In 1970 and 1980, we had a relatively small economy so we could produce the product we like by ourselves to our market and could expect benefit out of there. But the situation changed now. Most of business models cannot make profit if they are limited in domestic market. It surely is important to develop and make so called mega hit model which can be sold at any place of the world but along with this, we also have to develop ourselves to be enable to develop customized products for specific market. To achieve this, we have to understand varieties of customer from different background so that we can find out what they want faster and correctly. Women can find out what women wants more effectively and Islam knows what Islam wants better. American employee knows what American customers wants better and Congolese employee understand Congolese customer better.

 

After all, my conclusion are like below.

 

Conclusion

-. Taking an exclusive attitude toward persons who have different background can only lose your competitiveness.

-. Try to find out if there is a value you can share together. 
Posted by Tony K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