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도덕경 43장

2024. 1. 9. 11:32 from BoOk/pHiLoSoPhY

天下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

천하지지유 치빙천하지지견

無有入無間

무유입무간

吾是以知無爲之有益

오시이지무위지유익

不言之敎 無爲之益 天下希及之

불언지교 무위지익 천하희급지

 

 

天下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

세상에서 가장 유연한 것으로 세상에서 가장 견고한 대상에 치달린다.”

 

첫 문장은 柔와 堅이라는 두 단어가 양끝에서 대치하는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柔라는 단어는 Flexibility, 즉 융통성을 이야기한다 볼 수 있으며, 堅이라는 단어는 견고하고 변하지 않으려는 기존 질서를 의미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이 융통성이 항상 견고한 기존 질서를 대체할 수 있는 방도라는 이야기를 뜻하지는 않는다 생각합니다. 馳騁, 말을 치달린다는 이 단어는 도전 혹은 시도를 해봐야된다는 뜻으로 읽혀집니다. 견고하게 자리잡힌 질서나 법칙이 모두들 이제 무언가 부족하다던가, 아니면 이제 효용성을 다해간다는 생각이 들면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융통성을 최대한 발휘해 해결책을 찾아봐야된다는 의미로 생각됩니다.

 

無有入無間

“(견고한 질서에) 들이밀려는 시도가 없다면, (개선의) 틈새 또한 찾지 못할 것이다.”

 

실행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문구로 해석됩니다. 누군가 이야기하지 않읍니까. 복권을 사야 당첨을 기대할 수 있다고요. 기존의 체계나 방식 등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말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하다보면 대안을 찾아낼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합니다.

 

吾是以知無爲之有益

나는 이러하여 무위가 유익하다는 것을 안다.”

 

여기에서 노자에서 이야기하는 무위의 의미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앞의 두 문구에서 노자는 柔 즉 Flexibility라는 도구로 堅 즉 견고한 것처럼 느껴지는 기존 질서를 계속해서 개선하려 시도해야된다. 하지않으면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즉, 노자의 무위는 단순히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상태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무위는 오히려 Flexxibility를 확보하기 위한 주요한 방법이라고 이해해야되지 않나 싶습니다. 무언가를 리더가 규정하고 방향성을 가이드 하기보다, 그리고 특정 대상만을 위하는 방식보다 정말로 전체적인 측면에서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이 어떤 것일까를 열린 마음으로 구성원들과 소통하여 다양한 가능성을 찾기 위한 방법이라는 거죠. 그리고 이러한 자세야 말로 정말 유익하게 된다라고 이야기합니다.

 

不言之敎 無爲之益 天下希及之

말하지 않는 가르침은 무위의 유익함이다. 천하에 여기까지 미침이 드물다.”

 

무위는 不言의 가르침, 즉 나만의 의사를 고집하지 않는 가운데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교훈을 얻어내는 또는 방법을 찾아내는 과정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이 과정은 매우 어렵습니다. 대부분의 리더들은 무언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과 사항을 설파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자칫 구성원들의 입을 막아버리고, 활발한 소통을 차단하며, 아집과 독선으로 흐르게될 수 있다는 것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더 나은 방향이 없을까, 내가 지금 추진하는 것은 어쩌면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더 나은 방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성과만을 아니면 오히려 현상을 악화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 고민해야된다는 거죠.

 

이러한 접근은 사실 매우 많은 자원과 노력 그리고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난한 과정을 그래서 사람들은 선뜻 택하기 힘든 것임니다. 천하에 이 경지에 다다르는 사람이 드물게 되는거죠. 하지만 그래야 된다, 그리야 발전이 있게되고 개선을 이룰 수 있게된다고 노자는 이야기합니다.

 

Posted by Tony Kim :